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32

태양의 노란 홍염과 화성의 운하망 스펙트럼 태양의 방출물 1868년 8월 프랑스 천문학자 피에르 쥐 세자르 장센은 인도에 가서 일실을 관측했다. 태양의 밝은 원반 모양이 달에 가져리자 가느다란 세 층으로 구성된 태양 대기의 중간 층인 채층이었는데, 보통때는 환한 빛에 가려 보이지 않는 부분이었다. 장센은 채층 및의 스펙트럼에 밝은 방출선이 많이 나타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구스타프 카르히호프가 발견한 내용을 이용해 장센은 채층이 기체임을 확증해냈다. 또 그는 태양 스펙트럼에서 전에 안보였던 노란 방출선 하나도 발견했다. 그는 그 미지의 빛이 나트륨때문에 나타나며 태양이 노란빛을 띠는 데 일조한다고 추측했다. 같은해 10월 영국의 천문학자 조지프노몬 로키어는 분광기를 개발해 채층을 직접 관측했다. 그 또한 그 특이한 빛을 발견하고는 그것이 나트륨.. 2019. 10. 4.
3. 코페르니쿠스 모형 (1) 15세기 유럽의 대부분 사람들은 우주에서 지구가 차지하는 위치에 관한 질문에 대해 지구를 우주 중심에 둔 이론이 기독교로부터 공식적으로 인정받았다. 하지만 정설로 알려진 두 사람의 이론 앞에 처음으로 설득력 있게 제기된 도전장은 교회 내부 인물에게서 나왔다. 폴란드 인 참사회 위원 니콜라우수 코페르니쿠스였다. 이전의 우주 모형에서 지구는 우주 중심을 차지한 채 중 움직이지 않았고 다른 모든 천체는 지구 주위는 돌았다. 별은 먼 곳에서 지구 주위는 빠르게 회전하는 눈에 보이지 않는 거대한 천구에 박혀 있었다. 태양과 달, 행성 또한 서로 다른 속도로 지구 주위를 돌았다. 누구든 밖에 나가서 하늘을 올려다보면 지구는 한 지점에 고정되고 다른 전체는 동쪽에서 떠올라 하늘을 가로지른 뒤 서쪽으로 지는 모습이 분.. 2019. 10. 4.
2.중국에서 사용된 태양력 중국에서는 전통적으로 태음월12달 혹은,13달을 태양 때문에 발생하는 계정을 대응시키는 방식으로 음력과 양력을 복잡하게 뒤섞은 달력을 사용한다. 기원전 1세기 한나라 시대에 제작된 중국 전통달력은 태양년 길이는 365.25일로 계산했다. 중국은 서양보다 먼저 이 수치를 얻었다. 50년 뒤 율리우스 카이사르가 기존 로마력을 개정해 율리우스력을 만들 때 동일한 수치를 사용했다. 1276년 원나라 황제 쿠빌라이 칸이 중국 대부분을 점령했을 무렵 중국에서는 대명력을 변형한 달력이 사용됐다. 그러나 이 달력은 편찬된 지 수 백년이 지나 수정이 필요했다. 쿠빌라이칸은 새롭고 더 정확한 달력을 도입하기로 결정했다. 훗날 수시력이라 불리게 된 달력이 바로 그것이다. 달력 편찬 작업은 쿠빌라이칸 시절 천문대장을 역임한 .. 2019. 10. 4.
1.천체 이론에 대한 모든 문제 지식의 집대성 가장 널리 알려진 저서"알마게스트"에서 이집트 천문학자 프톨레마이오스가 당대 모든 천문학적 지식을 집대성했다. 프톨레마이오스는 주로 과거에 축적된 지식을, 특히 그리스 천문학자 히 파프 코스의 연구과를 기반으로 천문학을 집대성했다. 히파르코스는 "알마게스트"에서 사용된 계산식의 토대가 된 별 목록을 정리한 학자였다. 프톨레마이오스는 행성이 앞으로 어느 위치에 오는지 계산할 때 필요한 수학적 지식을 상술하기도 했다. 프톨레마이오스 체계는 이후 수세대에 걸쳐 많은 점석학자에게 사용되었으며, 고안한 태양계 모형은 지구가 움직이지 않은 채 한가운데를 차지하고 하늘이 지구 주위를 매일 한 바퀴씩 회전했다. 프톨레마이오스 모형은 모형과 관측된 데이터가 일치하도록, 그리고 모형이 행성의 위치를 계산하는.. 2019. 10.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