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에서는 전통적으로 태음월12달 혹은,13달을 태양 때문에 발생하는 계정을 대응시키는 방식으로 음력과 양력을 복잡하게 뒤섞은 달력을 사용한다. 기원전 1세기 한나라 시대에 제작된 중국 전통달력은 태양년 길이는 365.25일로 계산했다. 중국은 서양보다 먼저 이 수치를 얻었다. 50년 뒤 율리우스 카이사르가 기존 로마력을 개정해 율리우스력을 만들 때 동일한 수치를 사용했다. 1276년 원나라 황제 쿠빌라이 칸이 중국 대부분을 점령했을 무렵 중국에서는 대명력을 변형한
달력이 사용됐다. 그러나 이 달력은 편찬된 지 수 백년이 지나 수정이 필요했다. 쿠빌라이칸은 새롭고 더 정확한 달력을 도입하기로 결정했다. 훗날 수시력이라 불리게 된 달력이 바로 그것이다. 달력 편찬 작업은 쿠빌라이칸 시절 천문대장을 역임한 뛰어난 학자 곽수경이 맡았다.
곽수경은 태양년의 길이를 측정하기 위해 칸발라크에 천문대를 설립했다. 대도 라고 도 불린 칸발라크는 오늘날 베이징이라고 알려진 원나라의 새로운 수도였다. 칸발라크에 건설된 천문대는 당시 전세계 어떤 천문대보닫도 컸을 것이다.
곽수경은 수학장인 왕순과 함게 한 해 동안 태양의 움직임을 지속적으로 관측했다. 두 사람은 중국 내 지역을 돌아다니며 천무대 26개소를 추가 설치했다. 1279년 두 사람이 한 달의 길이는 29.530593일이고 진짜 태양년은 365.2524일 이라고 발표했다. 이 수치는 오늘날 통용되는 태양년의 길이보다 단지 26초 길었다. 중국이 서양보다 또 다시 앞선 순간이었다. 유럽에서는 300년 이 흐른 뒤에야 같은 결과는 얻어 기독교 세계에 보급되 그레고리력에 반영했다.
훌륭한 기술자이자 혁신가인 곽수경은 몇 가지 새로운 천문 관측기구를 발명했다. 그 또한 쿠빌라이 칸이 통치하던 시절 페르시아에서 중국으로 건너오기 시작한 관측 장비를 개량했다. 무엇보다 곽수경은 높으이가 13.3미터에 달하는 거대한 규표를 설치했다. 높이가 과거 페르시아인이 설계한 태양 그림자를 표시하는 가로 막대가 특징이었다. 새로운 규표 덕분에 곽수경은 훨씬 더 정확하게 태양의 고도를 측정할 수 있었다. 수시력은 당시 전 세계에서 가장 정확한 달력으로 널리 인정받았다. 마치 성공을 증명하듯 수시력은 이후 365년 동안 계속해서 사용돼 중국 역사상 가장 오랫동안 시행된 달력으로 기록됐다. 1912년 중국이 공식적으로 그레고리력을 채택했으나 오늘 흔히 농사용 달력 혹인 옛날 달력이라고 불리는 전통 달력은 가장 좋은 날로 혼인날을 잡거나 가족의 기념일 혹인 명정을 계산할 때 사용되는 등 여전히 동양 문화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일 년을 365일 6시간으로 계산해 달력을 만들었으나 달력과 한 해 동안 태양의 움직이 일치하지 않는다.
▼
태양년의 길이는 재려면 더 나은 측정기가구 제작돼야 한다.
▼
태양년의 길이와 일치하는 새로운 달력을 만들 필요가 있다.
▼
태양년의 길이가 365일 5시간 49문 12초 임이 확인된다. 중국에서 사용될 새로운 달력이 탄생한다.
곽수경
중국북부에 자리 잡은 가난한 가문에서 태어났다. 몽공이 중국 북부에 대한 지배를 강화하던 시기였다. 14세 무렵 대단히 향상된 물시계를 제작할 정도로 신도이었던 곽수경은 할아버지에게 수학과, 천문학, 수리기술을 배웠다.
기술자가 된 곽수경은 황제의 수석 기술자인 유병충 밑에서 일했다. 1250년대 후반 제위에 오른 쿠빌라이 칸이 황허 강 근처도서 대도 일대는 새 수도 칸발라크를 건설할 지역을 선택했다. 오늘날 베이징으로 알려진 도시였다.
곽수경은 근천 산에서 새 도시를 물을 끌어올 운하는 건설한는 작업에 착수했다.
1290년대 당시 칸의 수석 과학자이자 기술고문이었던 곽수경은 양쯔 강과 다른 주요 강을 연결하는데 대운하망을 칸빌리크까지 연장했다. 곽수경은 천문학을 연구를 하는 동시에 중국 곳곳에서 진행되는 유사한 관개 및 운하 사업을 감독했다. 곽수경이 일 군 이론적.기술적 혁신은 사후에서 수세기 동안 지속적으로 중국 사회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astronom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가 지목했던 위치에 실제로 행성이 존재한다. (0) | 2019.10.07 |
---|---|
오르트 구름과 혜성의 구성물질 (0) | 2019.10.04 |
태양의 노란 홍염과 화성의 운하망 스펙트럼 (0) | 2019.10.04 |
3. 코페르니쿠스 모형 (1) (0) | 2019.10.04 |
1.천체 이론에 대한 모든 문제 (0) | 2019.10.04 |